홍쓰`s 시즌1/홍쓰`s 세상이야기

잠깐 동안의 일상 탈출,잠시동안의 갯벌 탐사

x홍쓰x 2008. 11. 30. 01:29
반응형




오늘 우연한 기회(?)인 학교수업으로 인해 갯벌탐사를 다녀오게 되었습니다.
하필 오늘 날씨가 급변하면서 정말 엄청난 바람이 불었었죠...
갯벌에 도착해서 들어가는 순간, 탁트인 공간에 감동하기도 전에...탁트인 공간 덕분에 정말 몸이 날아갈 정도의 엄청난 바람이 불어오더군요...
어찌나 춥던지..정말 이걸 말로 표현해드릴수 없다는게 억울할 따름입니다....

어찌되었거나, 제가 다녀온 곳은 영흥도 외리 갯벌로 인천에서 약 한시간정도 걸리는 거리에 있더군요. 학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곳의 간조시각은 안산 탄도 (11:19, 62cm), 만조(17:34, 770cm)라고 하네요...770cm이면...거의 8m가 된다는 말인데...정말 믿기힘들 정도이지요. 하지만 수백m 멀리 물이 빠져있는걸 보면 충분히 그럴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하지만, 역시나 너무 추워서 아무것도 하기싫고 그저 추위를 피하는 것밖에는 하기가 싫더군요. 교수님도 이런 날씨까지는 생각도 못하셨다고 하시더군요..하하..그래도 탐사를 목적으로 온 만큼 남는게 있어야 하니..몇몇 작업을 하였습니다.

사진을 보시면 알겠지만, 갯벌의 표면은 밝은 진흙이지만, 안은 짙은 색을 띄고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겉은 공기중에 잘 노출되서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가 잘 이루어 지는데, 안쪽은 산소와 잘 반응을 일으키지 못해서 그렇다고 하더군요. 이는 깊숙한 곳까지 산소가 투입을 못하는 것으로 다르게 생각해보면 산소가 충분치 않기 때문에 생물이 살기 힘들다고 볼수 있다고 하는군요...










옆에는 교수님과 같이오신 조교분들이 갯벌속의 생물 조사를 위해 열심히 벌을 파면서 찾아낸 갯지렁이류들 입니다.








옆에 사진은 좀 흔들려서 잘 안나왔는데, 이놈은 제가 설명을 잘 듣지는 못했지만, 밤게라고 하는거 같더군요..;
학교자료에 의하면 밤게는 등껍데기는 원형이며 등쪽으로 볼록하고 표면에는 작은 돌기들이 있다. 보통 집게다리를 들고 이동하며, 5-6월 경엔 짝짓기가 한창이다.



위에 놈들도 조교들에게 잡혀(?)온 놈들 입니다. 두놈 서로 다른 종인거 같은데 제가 이쪽 관련분야가 아니다 보니 잘 알지는 못하겠네요...;;











옆에는 심히 흔들렸지만, 아마 다들 바닷가등에서 많이 보셨을거라 생각합니다. 이들은 고둥종류일 걸로 보입니다.




갯벌을 다니다 보면 조금만 물이 고여있는 곳이면 이렇게 고둥종이 많이 모여있는 것을 관찰 할 수도 있었습니다.








옆에 것은 알집이라고 합니다. 제가 설명을 잘못들은거 같은데 무슨 구렁이의 알집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갯벌에 무슨 구렁이..아마도 우렁이나 고둥의 설명을 제가 잘못 들은게 아닌가 싶습니다. 아무튼! 알집이란게 중요하죠..




머..이래저래 돌아다닌거 같지만, 너무 추운관계로 갯벌엔 한시간정도 밖에 못있었습니다. 하지만 거의 온몸이 얼어버릴 정도의 추위...그래도 오랜만에 도시를 떠나 바다로, 그것도 저 멀리 바닷물이 밀려나가있는 갯벌로 가니 맑은 공기가 참 좋긴 하더군요.
갯벌은 사전적 의미로는 '갯가의 벌판', 즉 '밀물과 썰물이 드나드는 바닷가나 강가의 모래 또는 개펄로 된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을 말합니다.
갯벌 생태계의 기능적 역할을 중심으로 그 가치를 따져보면,
1) 수산물 생산 및 원료의 공급원으로서의 기능
2) 연안생태계의 유지
3) 자연정화조로서의 기능
4) 심미적, 문화적 가치 및 레크리에이션

갯벌이라 하면, 무엇이 생각 나십니까.. 최근엔 새만금이외에도 서해 전반적인 곳에서 갯벌을 메워 좁은 땅을 늘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배우는 학생의 입장에서 배운 내용에 의하면 갯벌이 생성되려면 최소 몇천년의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갯벌의 역할 또한 대지의 유기물을 해양의 영양분으로 바꿔주는 것등의 여러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도 알고 있지요. 하지만 이런 갯벌을 불과 몇년만에 다 메워버리는 현실이 참 안타깝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인터넷 뉴스에도 나왔지만 한국의 환경오염수준이 세계적으로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발전과 유지, 참으로 어려운 문제이기는 하지만 이런 환경의 중요함을 잊어서는 안될거라 생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