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홍쓰`s 잡동사니 774

20대의 고민들, 맥주 한잔과 함께 까짓거 이겨냅시다~!

저는 이제 대학교 졸업생입니다. 정확히 이야기 하자면, 올해 졸업 연기를 하면서 5학년을 다니는 취업준비생이죠...ㅡㅡ^ 어찌 되었건~!! 이제는 취업된 동기들은 사회로 나가면서, 이래저래 서로 생각들이 많아졌습니다. 오늘도 도서관에서 열심히 취업스팩 준비를 하다가.... 프레스블로그에서 하는 아사히 맥주 리뷰글이 생각이 나서 오는 길에 맥주 한병을 사왔습니다. 아사히 맥주는 독특하게도 'Super DRY' 단어가 붙어 있습니다. dry : 마르다; 말리다 마른, 건조한 아사히 맥주는 일본에서 들어오는 수입맥주이지만, dry맥주 답게 단맛이 적고 끈적거림이 없어 마신 후에도 입안에 아무맛도 남지 않는 깔끔한 맥주라서 참 마음에 듭니다. 짠~!! 그래도 나름 안주거리 할만한게 군만두가 있길래 조금 했습니..

삼성전자 LCD사업부, LG디스플레이 나란히 매출 20조원 돌파!

삼성전자의 LCD사업부와 LG디스플레이가 지난해 매출 20조원 돌파를 한것으로 확실시 된다고 합니다. 1990년 초반에 일본 기업으로 부터 기술을 배워서 뒤늦게 시장에 진출했지만, 가장 먼저 20조원 매출 고지에 올랐다니 대단합니다. 삼성전자 LCD사업부는 약 22조원의 매출과 1조 5000억원 규모의 영업익이 전망됩니다. LGD는 연 매출 20조원과 영업익 1조원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지난해 대형LCD 패널 시장의 수요가 예상보다 강세였고, 환율효과까지 더해져서 사상 최대의 실적이 기대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블로그하세요? 그럼 아이티를 도와 주세요~!!!

아이티에 지진이 발생한지 벌써 6일째 입니다.오늘 뉴스를 보니 사상자가 20만명에 육박할거라고 합니다.갑작스런 강한 지진으로 인해 더욱 피해가 큰거 같습니다.현재 아이티를 보면 가히 무법천지인거 같습니다.그저 인간 본연의 본성만이 남아서 살고자 하는 의지가 처절해보이기 까지 합니다.너무도 열악한 환경탓에 더욱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정말 이럴때 글로벌 시대답게 전 세계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거 같습니다.우리나라도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이번 아이티 지진피해 지원액으로 민간 모금액을 포함하여 약 1000만 달러의 지원이 있을거라고 합니다.이는 지원국중 6~7위 규모로 정부 뿐 아니라 민간단체들도 얼마나 적극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민관단체에서 이렇게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

올해 기업 일자리의 진실은..늘어난걸까?? 줄어든걸까??

올 초부터 재미난 기사거리가 있습니다. 한번에 몰아서 나온게 아니라 잘 모를 수도 있지만, 신기한게 있습니다. 바로 취업 일자리 기사들 입니다. 가장 최근에 있던 기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16일자 기사를 보면 국내 30대 기업들이 사상 최대의 투자를 통해서 빠른 경제회복을 도모하고 적극적인 고용에 나선다고 나옵니다. 이는 분명 매우 대기업 입장에서는 중요하고 국가 경제를 위해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나온 기사들을 보면, 다시금 우울해 지는거 같습니다. 오늘 나온 기사를 보면, 이제는 '세대간 일자리 전쟁'이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1960년대 초반의 베이비붐 세대들과 현재의 88만원 세대들의 일자리 전쟁입니다. 정부가 임금피크제와 정년연장등을 통해 베이비붐 세대들의 사회적, 경제적 문..

변화하는 기업 인재상

기업의 인재상은 취업준비생들에게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말하자면, 기업의 인재상에 자신을 맞춰야하기 때문입니다. 자소서를 쓰다보면 누구나 '소설'을 한편씩 쓴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기업들에게 잘보이려다 보니 진실만을 보이기엔 힘들어서 그런거 같습니다. 오늘 나온 기사를 보면 시대에 따라 기업들의 인재상도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1960년대는 순응형 인재. 1980년대는 자기주도형 인재. 2000년대는 전인적인간형 인재. 잘 생각해보면 기업의 인재상은 당연하다는 면이 있습니다. 1960년대는 아직 우리나라가 혼란의 시대였기 때문에 발전을 위해서는 기업이 원하는대로 직원들이 잘 움직여야 했습니다. 이런 시대에 자신의 의견을 내세우는 것은 오히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