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년자 자녀에게 돈 주면 세금 낸다?! 증여세 헷갈리는 부분 싹 정리! (10년 2천만 원 공제부터 명절 용돈까지)
![](https://blog.kakaocdn.net/dn/Fxth3/btsL3nvn0cH/eXcMw6fNTy4dyTN2mTxrg1/tfile.webp)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할 때, 증여세 문제 때문에 고민한적 있으시죠?
"10년 동안 2,000만 원까지는 괜찮다던데, 정확한 기준이 뭐지?"
"명절에 주는 세뱃돈도 증여 신고해야 하나?"
"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 어떻게 적용되지?"
이런 궁금증을 가지신 분들을 위해, 미성년 자녀 증여 시 가장 많이 혼동하는 3가지 내용을 완벽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 불필요한 증여세 부담 없이 합법적으로 자녀에게 자산을 증여하는 방법을 알 수 있어요!
![](https://blog.kakaocdn.net/dn/bK2MUm/btsL4QCZSLg/nkjlnr95SRFK4FsalqmGXK/tfile.webp)
1️⃣ 10년간 2,000만 원 증여세 공제, 정확한 기준과 적용 기간
"부모가 각각 2,000만 원씩 증여하면 총 4,000만 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지 않을까?"
이런 오해를 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하지만 증여세 공제 한도는 부모 각각이 아니라, 자녀 한 명당 10년간 총 2,000만 원이에요.
✅ 정확한 정보
✔ 미성년자(만 19세 미만) 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10년간 총 2,000만 원까지 증여세 면제
✔ 증여세 공제 한도는 "부모 기준"이 아닌 "자녀 기준"
✔ 부모가 각각 1,000만 원씩 증여해도, 자녀의 총 공제 한도(2,000만 원)를 초과하지 않으면 세금 없음
✔ 증여일 기준으로 10년이 지나야 새로운 공제 한도가 적용됨
📌 기준 기간 이해하기 (10년이 언제부터 언제까지인가요?)
✅ 증여세 공제는 "증여일 기준"으로 10년 단위로 적용돼요.
즉, 10년 동안 증여받은 금액을 합산하여 2,000만 원을 초과하면 증여세가 부과되는 거죠.
📌 예시 1: (한도 내 증여)
2025년 5월 1일: 부모가 자녀에게 1,000만 원 증여 → 증여세 없음
2028년 6월 10일: 추가로 1,000만 원 증여 → 총 2,000만 원 증여, 여전히 증여세 없음
2030년 3월 5일: 500만 원 추가 증여 → 10년간 증여액이 2,500만 원이므로, 초과된 500만 원에 대해 증여세 부과
📌 예시 2: (10년이 지나 새로운 공제 적용)
2015년 7월 20일: 부모가 자녀에게 2,000만 원 증여 → 증여세 없음
2025년 8월 1일: 추가로 2,000만 원 증여 → 10년이 경과했으므로 새로운 공제 한도 적용, 증여세 없음
💡 TIP
✅ 10년 단위로 증여 일정을 조정하면 세금 부담 없이 증여 가능!
✅ 증여 후에는 통장 입출금 기록을 보관해 두는 것이 좋아요.
![](https://blog.kakaocdn.net/dn/byRFiz/btsL4E3RMYW/E0epKDXDUCKlmXENtJZkD1/tfile.webp)
2️⃣ 명절에 주는 세뱃돈, 증여세 신고해야 할까?
명절마다 아이들에게 세뱃돈을 주면서 "이거 세금 문제는 없을까?" 고민한 적 있으시죠?
다행히도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범위의 세뱃돈은 증여세 신고 대상이 아니에요.
✅ 정확한 정보
✔ 세뱃돈은 사회 통념상 인정되는 범위 내에서는 증여세 신고 대상 아님
✔ 일반적으로 몇만 원~수십만 원 정도의 세뱃돈은 비과세
✔ 하지만 세뱃돈 명목으로 수백만 원 이상의 금액을 주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음
📌 예시:
🧧 할아버지가 손주 3명에게 각각 50만 원씩 세뱃돈 지급 → 증여세 없음
🧧 부모가 명절마다 자녀에게 500만 원씩 용돈 지급 → 10년간 2,000만 원 초과 시 증여세 부과 가능
🧧 친척들이 공동으로 자녀에게 3,000만 원을 모아 줬다면? → 증여세 신고 필요
💡 TIP
✅ 통상적인 범위라면 세뱃돈은 증여세 신고 필요 없음
✅ 자녀 통장에 입금할 때 '세뱃돈'이라고 기재하면 자금 출처 증빙 가능
![](https://blog.kakaocdn.net/dn/boclCs/btsL4MncEvS/eW5OmHquoeZWvfXUvNQrX1/tfile.webp)
3️⃣ 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 언제 적용될까?
2024년부터 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가 새롭게 시행되면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이에요.
부모가 혼인·출산 명목으로 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추가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정보
✔ 혼인 시: 혼인신고일 전후 2년 이내 증여하면 최대 1억 원까지 공제
✔ 출산 시: 출생일 전후 2년 이내 증여하면 최대 5천만 원까지 공제
✔ 공제받은 후 10년 내 이혼·입양 취소 시 공제한 금액에 대해 세금 부과됨
📌 예시:
👰 2024년 5월 1일 혼인 신고 → 2022년 5월 1일부터 2026년 5월 1일까지 증여 시 1억 원 공제 가능
👶 2025년 2월 15일 출산 → 2023년 2월 15일부터 2027년 2월 15일까지 증여 시 5천만 원 공제 가능
💡 TIP
✅ 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는 혼인신고 또는 출생신고 후 증여 시 적용 가능
✅ 공제받고 10년 이내 이혼·입양 취소되면 세금 다시 납부해야 함
![](https://blog.kakaocdn.net/dn/wcngB/btsL3QD5dHp/Qbn95hV0FiVgmC8FSczrh0/tfile.webp)
📌 마무리 : 미성년자 증여, 이 3가지는 꼭 알고 하자!
✔ 10년간 2,000만 원 공제는 부모가 아니라 자녀 기준!
✔ 세뱃돈은 통상적인 금액이면 증여세 대상 아님
✔ 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는 2024년부터 시행, 요건 충족 시 공제 가능
💬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